2025.02.18 국내 1호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자가 되기 위해 증권사들이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는 기사를 보게 되었다. 종합투자계좌(IMA)가 무엇인지 알아 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최근 금융 시장에서는 다양한 투자 상품들이 등장하며 투자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종합투자계좌(IMA)는 비교적 새로운 유형의 투자 상품으로, 원금 보장과 투자 수익이라는 두 가지 장점을 동시에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글에서는 종합투자계좌(IMA)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부터 특징, 장점, 그리고 투자 유의사항까지 종합적으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종합투자계좌(IMA)란 무엇인가?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는 2016년 8월 2일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를 개정하면서 IMA를 처음 도입했다. 종합투자계좌(IMA: Investment Management Account)는 투자은행이 고객 자금을 통합 운용하고,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분하는 금융상품이다. 이는 기존의 CMA(종합자산관리계좌)보다 운용 범위가 넓으며, 기업금융을 중심으로 자금을 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IMA는 자기자본 8조 원 이상의 초대형 투자은행(IB)에 한해 허용될 예정이며, 기업금융 활성화를 위한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된다. IMA는 고객에게 원금 지급 의무를 지며, 운용 수익은 사전에 약정한 방식에 따라 투자자에게 배분된다. 이러한 구조는 은행 예금처럼 원금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투자 성과에 따라 추가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IMA의 주요 특징
- 원금 보장 및 수익 배분: IMA는 증권사가 원금 지급 의무를 가지는 상품이다. 동시에, 운용 결과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을 투자자와 증권사가 사전에 정한 비율로 나누어 갖는 실적 배당형 상품이다.
- 기업 금융 투자 중심: IMA 자금은 주로 기업 금융 분야에 투자된다. 수탁금의 70% 이상이 기업 대출, 회사채 인수 등 기업과 관련된 다양한 금융 투자에 활용되어 기업의 자금 조달을 돕고, 투자 수익을 창출한다.
- 예금자 보호 제외: IMA는 증권사의 어음관리계좌(CMA)와는 달리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투자 결정 시 증권사의 안정성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 레버리지 규제 및 회계: IMA는 레버리지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운용의 유연성을 높였다. 또한, 증권사의 고유 자산과는 분리하여 별도로 회계 처리된다.
- 인가 조건: IMA 사업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금융당국은 자기자본 8조 원 이상의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자에게만 IMA 사업 인가를 부여한다. 현재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등 대형 증권사들이 IMA 사업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IMA의 장점
- 투자자: IMA는 은행 예금 금리 이상의 수익을 기대하면서도 원금 손실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투자 목표에 부합합니다.
- 증권사: IMA는 증권사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한다. 은행의 수신 기능과 유사한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고객 자금을 유치하여 다양한 투자 및 수익 창출 활동을 할 수 있다.
- 기업: IMA는 기업 금융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기업들은 IMA를 통해 보다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 유치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한다.
투자 시 유의사항
- 예금자 보호 미대상: IMA는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므로, 투자 시에는 증권사의 재무 건전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증권사가 파산할 경우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 수익률 변동 가능성: IMA는 실적 배당형 상품이므로, 투자 성과에 따라 수익률이 변동될 수 있다. 시장 상황이나 증권사의 운용 능력에 따라 수익률이 예상보다 낮아질 수도 있다.
- 상품 구조 및 투자 내용 확인: IMA 상품마다 구체적인 투자 대상, 수익 배분 방식, 수수료 등이 다를 수 있다. 투자하기 전에 상품 설명서를 꼼꼼히 확인하고, 투자 내용과 조건을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 초대형 증권사만 가능: 현재 IMA는 자기자본 8조 원 이상의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자만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IMA 투자를 고려할 때는 해당 증권사가 IMA 사업 인가를 받은 증권사인지 확인해야 한다.
종합투자계좌(IMA)는 원금 보장형 상품과 투자형 상품의 특징을 결합한 새로운 금융 상품으로, 투자자, 증권사, 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IMA는 주식이나 펀드와 같은 고위험·고수익 상품보다는 위험도가 낮지만, 예금이나 채권보다는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중위험·중수익 상품을 선호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IMA 시장의 성장과 발전을 주목하며,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에 있어 IMA를 고려해 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참고 기사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자컴퓨터 꿈의 기술 어떤것일까? 주목해야하는 기업은 어디일까? (1) | 2025.02.20 |
---|---|
TSMC기업 우리나라에 들어 온다면 ? 세계적 기업을 유치하려는 이유 (3) | 2025.02.19 |
출산율과 경제의 관계 그리고 관련 기업들 (4) | 2025.02.17 |
CAPE지수와 버핏지수 투자 타이밍 잡아보자! (2) | 2025.02.15 |
전통적인 호봉제에서 직무성과연동제로 간다면 꼭 나쁜것일까? (2)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