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2

전통적인 호봉제에서 직무성과연동제로 간다면 꼭 나쁜것일까?

오늘 호봉제를 유지한다면 정년연장의 인건비 부담과 신규 청년 고용이 위축된다는 기사를 보았다. 이에 호봉제와 직무성과연동제의 의미와 장.단점 그리고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호봉제와 직무성과연동제호봉제 (Seniority-Based Pay System)최초의 시작과 의미 호봉제는 연공서열을 기반으로 임금을 결정하는 체계이다. 즉, 근속 연수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으로 임금이 상승하는 구조다. 이는 한국과 일본의 산업화 초기(1960~80년대)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조직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도입 되었다.유교 문화의 연장자 우대 사상이 반영되어, 조직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고 안정적인 인력 관리를 가능하게 했다. 주로 공공기관 및 전통적인 대기업에서 많이 사용되었다.기원: 한국의 호..

투자공부 2025.02.14

주 4일제 어떠한 이점이 있을까? (주 4일제 빨리 됐으면 좋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25년 2월 1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잘사니즘'을 새로운 비전으로 꺼내들었다. 회복·성장을 주장하며 노동유연성 확대를 제안했다. 그 중 노동 정책으로 '주4.5일제'를 거쳐 '주4일 근무 국가'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주 4일제를 시행하는 국가가 어디이며 주 4일제가 가져올 새로운 기회를 투자자의 관점에서 살펴보자.  최근 전 세계적으로 노동시간 단축과 일과 삶의 균형을 강조하는 흐름이 확대되면서 주 4일 근무제가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주 5일 근무제를 유지하는 국가들이 여전히 대다수이지만, 일부 국가 및 기업들은 주 4일 근무제를 실험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주 4일제는 단순히 근무일수를 줄이는 것을 넘어, 노동 문화와 사..

투자공부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