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공부

대한민국도 이제 초고령화사회! 그리고 새로운 소비 GG세대(Grand Generation)

**기록자 2025. 2. 7. 21:39

 

 고령화 사회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국제연합(UN)의 기준에 따라 세 단계로 구분된다.

  •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 이상인 사회
  • 고령 사회(Aged Society):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 이상인 사회
  •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 이상인 사회

 한국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의 18.4%를 차지하며, 이는 2025년에는 20.6%,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고령화의 심각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이유는 문제의식의 무뎌짐과 저출산 문제에 대한 체념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한 초고령 사회에서 기존의 인식처럼 돌봄의 대상이 아닌 새로운 소비시장의  블루오션으로 GG (Grand Generation)세대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GG(Grand Generation)란, 전통적인 '노인' 개념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소비와 사회 활동을 이어가는 능동적인 고령층(50~80대) 을 뜻하는 용어다.

  • 단순한 은퇴자 세대가 아니라 경제적 여유, 건강, 디지털 친화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소비 계층으로 정의된다.
  • 기존의 '실버 세대'와는 달리 활기찬 삶을 추구하며, 사회·경제적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행사하는 세대를 뜻한다.
  • 특히,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세대와 1970년대 출생자들이 포함되며, 퇴직 후에도 활동을 멈추지 않고 소비, 창업, 여행, 건강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특징이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GG마켓 공략 보고서’에 따르면, GG 시장은 일반적인 시니어 시장과 달리 개척의 여지가 크며, 향후 30년간 주요 소비층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상공회의소

  • GG 시장의 주요 소비 트렌드① 감성 나이(Mind-aging) 중심 소비
    • 제품과 서비스가 연령보다 젊은 감성을 반영해야 함.
    • 스타일리시한 디자인, 세련된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
    • 예: 카디스 아이웨어(Caddis Eyewear) → 다양한 색상과 스타일의 돋보기 안경으로 GG 시장 선점.
    ② 셀프 노화 관리(Slow-aging & Pro-aging)
    • 이너뷰티(콜라겐, 히알루론산 등) 시장 성장 (2025년 예상 규모: 2조 원)
    • 맞춤형 건강식단 및 보조식품 수요 증가
    • 뷰티 & 웰니스 제품: 자연스러운 노화를 받아들이는 ‘프로에이징’ 트렌드 확산
    ③ 디지털 서퍼(Digital Surfer)
    • 온라인 쇼핑, OTT, SNS 사용 증가
    • 디지털 헬스케어 (펨테크, 인공지능 기반 건강 관리) 관심 증가
    • 예: 빅데이터 기반 갱년기 관리 앱, 인지장애 예방 모바일 게임 개발 필요
    ④ 가치 중심 소비 & 프리미엄 경험
    • 여행, 명품, 프리미엄 가전 소비 증가
    • 프리미엄 체험 마케팅 중요 (럭셔리 크루즈, 맞춤형 여행 서비스 등)
    ⑤ 롤모델 ‘따라 소비’(Ditto 소비)
    • 젊은 패션 감각과 취미를 공유하는 시니어 인플루언서 증가
    • 브랜드는 이들을 활용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자연스러운 마케팅 가능
    • 디토(Ditto)소비 즉, ‘따라 소비’ 증가
    ⑥ ‘내 노후는 내가’(Self-aging)
    • 맞춤형 케어 서비스 (개인 맞춤형 식단, 건강 관리, 가사 대행 등)
    • 배움과 자기계발에 대한 투자 증가 (온라인 강의, 취미 활동 등)
    ⑦ 사회적 교류 욕구 증가
    • 시니어 커뮤니티 플랫폼(예: 미국 ‘행크(Hank)’) 증가
    • 브랜드는 GG 세대 전용 커뮤니티를 구축해 충성 고객 확보 가능
     
    3. GG 시장 공략을 위한 7가지 전략

대한상공회의소는 GG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7가지 공략 방안을 제시했다.

  1. 연령보다 ‘감성 나이’ 기준 마케팅 → 젊고 활기찬 브랜드 이미지 구축
  2. 노화 관리 제품과 서비스 제공 → 건강·뷰티·웰니스 산업 집중
  3. 디지털 기술과 헬스케어 접목 → 스마트 헬스케어, 맞춤형 건강 솔루션 개발
  4. 프리미엄 경험 제공 → 여행, 명품, 자동차 등 GG의 감성 소비 충족
  5. 시니어 인플루언서 활용 → GG의 ‘따라 소비’ 트렌드 공략
  6. 자립적 노후 생활 지원 → 맞춤형 식단, 가사 대행, 노후 관리 서비스 개발
  7. GG 전용 커뮤니티 구축 → 브랜드와 고객 간 지속적인 관계 형성

 MZ세대 중심의 마케팅에서 벗어나, GG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것이 기업의 필수 전략이 되고 있다. GG 세대는 경제력이 높고, 새로운 경험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디지털 친화적인 소비 습관을 갖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GG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 성향을 반영한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GG 소비자들이 더 젊고, 건강하게,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브랜드가 미래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다.